지난해 홈쇼핑 판매액이 사상 처음으로 편의점 매출액을 앞지르는 등 무점포 판매가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홈쇼핑 판매액은 7조4천806억원으로 2009년의 5조8천697억원보다 27.4% 증가했다. 편의점 판매액도 지난해 7조3천427억원으로 전년의 6조2천445억원보다 17.6% 급증했으나 홈쇼핑의 성장세에는 못미치면서 추월당했다. 홈쇼핑의 급성장에 따라 무점포(인터넷쇼핑, 홈쇼핑, 방문판매 등) 판매실적은 지난해 31조2천141억원으로 전년보다 15.1% 증가하면서 대형마트 판매액과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했다. 무점포 판매액은 2007년 21조3천억원에서 2008년 23조9천억원, 2009년 27조1천억원, 2010년 31조2천억원 등 매년 10%대의 증가율을 거듭하면서 30조원 시대에 들어섰다. 반면 대형마트 판매액은 2007년 28조4천억원에서 2008년 30조1천억원, 2009년 31조3천억원, 2010년 33조7천억원 등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무점포 판매액은 2007년 대형마트 판매액의 75% 수준이었지만 2008년 79.5%, 2009년 86.7%, 2010년 92.5% 등으로 높아졌다. 이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2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6일 경인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1년 1월 경기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 1월 중 경기도 소비자물가지수는 119.2로 전년동월 대비 3.9% 상승했다. 지난달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009년 3월(4.0%) 이후 최고치로 농축수산물 폭등세가 올해에도 안정세에 접어들지 못하면서 서민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품목별로는 양배추가 전년동월 대비 195.8% 올라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배추(159.4%), 파(112.4%), 마늘(84.8%), 무(77.0%), 콩(67.3%), 고등어(66.1%) 등의 순으로 오르면서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19.0% 상승했다. 다만 상추는 출하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오른 탓에 소비 부진이 이어지면서 54.6% 내렸다. 공업제품은 오징어채(51.7), 고추장(30.9%), 금반지(20.2%), 빙과(16.4%), 두부(13.9%), 승용차타이어(13.4%) 등이 올라 전년동월 대비 4.1% 올랐다. 서비스는 국제항공료(12.5%), 목욕료(7.4%), 돼지갈비(외식 6.3%), 주차비(6.1%) 등이 올라 전년동월에 비해 1.7% 상승했고
올해 중소기업의 금융기관 대출에 대한 신용보증 규모가 64조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6일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따르면 올해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의 보증규모 계획은 각각 47조1천289억원, 17조원등 총 64조1천289억원으로 나타났다. 신보의 보증규모는 지난해 계획보다 2천39억원 줄었고 기보는 4천261억원이 감소했다. 정부가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보증지원을 점차 감축하는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창업기업 등 일자리 창출 분야에 대한 지원은 오히려 커졌다. 신보는 일자리창출기업에 지난해보다 1천179억원 증가한 15조5천억원을 지원하고 녹색기업, 유망서비스기업 등 성장동력산업에 16조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보도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지난해 39%에 그쳤던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보증잔액 비중을 중장기적으로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기보는 2001년 이후 10년 만에 프라이머리 자산유동화증권(P-CBO) 보증을 통해 신용이 낮지만, 잠재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도 지원할 계획이다. 녹색기업, 벤처ㆍ이노비즈기업이 발행하는 P-CBO에 대한 보증을 통해 3천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두 신용기관은 장기간 혹은 고액
수도권에서 1억원대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수원으로 조사됐다. 6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이번달 1일 기준 수도권 내 1억원대 아파트(전용면적 60㎡ 이상)는 총 38만8천385가구로, 이 중 수원에 있는 곳이 4만3천553가구로 가장 많았다. 수원은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1억원대 아파트가 4만가구가 넘었는데 주로 영통동, 정자동, 권선동 등에 집중됐다. 다음으로는 평택(3만484가구), 남양주(2만7천125가구), 시흥(2만722가구), 의정부(2만585가구) 등 순이다. 동별로는 시흥시 정왕동이 1만2천601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남양주시 오남읍(7천910가구) ▲수원시 영통동(6천770가구) ▲남양주시 화도읍(6천527가구) ▲의정부시 신곡동(6천316가구) ▲수원시 정자동(6천7가구) ▲파주시 금촌동(5천758가구) 등이다. 시도별로는 경기도(30만5천67가구), 인천(7만2천971가구), 신도시(6천749가구), 서울(3천58가구) 등의 순이다. 한편 서울에서는 은평구(709가구), 양천구(689가구), 성북구(683가구) 등에서 1억원대 아파트가 많았다.
지난달 전셋값 상승률이 1월 한 달간 상승폭으로는 지난 2002년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월이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부터 이어진 전세값 고공행진이 멈추지 않고 있는 것이다. 6일 KB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셋값은 전국 평균 0.9% 올랐다. 매년 1월 전셋값 변동률을 보면 2002년 2.1% 오르면서 매매가격 폭등으로 이어지고 나서 2003년 -0.1%, 2004년 -0.5%, 2005년 -0.5% 등 하락세를 보이다 다시 집값이 뛰기 시작한 2006년 0.4%, 2007년 0.4%, 2008년 0.2% 상승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0.9%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0.3%로 약간 회복되는 형국이었다. 따라서 지난달 전국 평균 전셋값 상승률은 2002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고 주택 가격 조사가 시작된 1986년부터 올해까지 26년간의 같은 달 장기평균 증감률(0.4%)과 비교해서도 0.5%p나 높은 것이다. 특히 서울지역 전셋값은 지난달 1%(강남 1.1%, 강북 0.9%) 뛰면서 역시 2002년(2.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장기평균 변동률(0.6%)보다 0.4%p
중소기업의 기술유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정부의 지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중소기업청은 ‘2011년도 중소기업 기술유출방지사업’을 확정하고 7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보보안 관제센터 설치, R&D 참여 중소기업에 대한 보안상담 강화 및 기술임치제도 이용비용 지원 등을 주요 골자로 추진된다. 먼저 중소기업이 사용하는 전산망에 대한 ‘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등 악성 바이러스 차단은 물론 이메일을 통한 중요 자료의 유출 등을 모니터링하는 ‘중소기업 정보보안관제’ 서비스가 새로 도입된다. 그 동안 관제서비스는 민간에서 제공하고 있으나 고가의 비용으로 중소기업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올 하반기 서비스에 들어가는 중소기업 정보보안 관제센터는 서비스 실시 이전까지를 시범 사업기간으로 삼고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무료로 관제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중소기업 기술보호 상담센터와 기술임치제도가 확대된다. 정부는 중소기업 기술정보진흥원에 설치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보호 상담센터를 통해 국가 R&D 참여 희망기업이 갖추어야 할 보안관리규칙이나 비밀유지협약서 샘플 등을 배포하고 기술자료 임치센터의 임치금고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가 글로벌 경제위기 이전 수준인 400만명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취업자는 402만8천명으로 2007년 401만4천명 이후 3년 만에 400만명 고지를 다시 돌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2004년 417만7천명, 2005년 413만명, 2006년 405만7천명, 2007년 401만4천명으로 400만명선을 유지했으나 리먼 사태가 터진 2008년 396만3천명으로 줄어든데 이어 2009년에는 383만6천명으로 감소했었다. 이처럼 지난해 취업자가 400만명선을 회복한데는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업체들이 강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을 대폭 늘림에 따라 제조업 가동률이 높아지고 내수가 살아났기 때문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월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5월 403만6천명을 기록한 뒤 그해 12월까지 400만명대를 유지했다. 제조업에 광업까지 합한 광공업 취업자 또한 지난해 404만9천명을 기록해 3년만에 400만명을 다시 넘어섰다. 광공업 취업자는 2007년 403만1천명이었다가 2008년과 2009년에 경제 위기 여파로 각각 398만5천명, 385만9천명으로 줄었었다. 기획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틈을 타고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미국육류수출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수입된 미국산 쇠고기는 8만4천822t으로 전년 대비 4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쇠고기 수입 증가율 16.2%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특히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던 지난해 12월에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주당 평균 2천t 수준으로 높아졌고, 연말에는 주당 2천500t을 육박했다고 협회는 전했다. 수입 쇠고기 중 미국산 비중도 2009년 26.5%에서 지난해에는 32.5%로 높아져 1위인 호주산 쇠고기(53%)와의 격차를 좁혔다. 미국산 돼지고기는 수입 돼지고기 중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산 돼지고기 총 수입량은 7만5천362t이다. 이는 전체 수입 돼지고기 중에서 26.1%를 차지한 것으로 캐나다산 18.9%를 크게 앞질렀다.
■ 자동차 업계 첫 월간 실적 호조세 현대와기아자동차, 르노삼성, GM DAEWOO, 쌍용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올해 첫 월간 수출실적에서 호조세를 보이는 등 수출, 내수시장에 파란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자동차 업계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역량 강화를 통해 전례없는 판매 성장을 꾀하고 있다. 현대와 기아자동차를 비롯한 주요 국내 완성체업체들이 올해 첫 월간실적에서 호조세를 보이며 올 한해 수출, 내수 등 시장 전망을 밝게 했다.기아자동차는 3개월 연속 월 판매 20만대를 넘기며 순항 중이며 현대, GM DAWOO는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20% 내외의 매출 신장세를 기록했다.특히 쌍용자동차는 지난해 10월 이후 상승세를 유지, 지난달에는 65% 매출 신장세를 보이는 등 시장경쟁력을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국내시장은 K5·해외에서는 포르테 인기 기아자동차는 지난달 동안 내수 4만502대, 수출 17만6천741대 등 총 21만7천243대를 판매했다. 기아차의 1월 판매는 모닝, K5, 스포티지R 등 최근 출시된 신차들의 국내외 시장에서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33.1% 증가했고 지난해 11월과 12월에 이어
에너지관리공단 경기지역에너지기후변화센터는 31일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녹색교육 활성화를 위한 ‘2011년 민간단체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성남소비자시민모임 등 12개 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이번 간담회는 2011년도 단체별 녹색교육계획 및 청소년 에너지절약 체험활동과 관련한 노하우 등을 토론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경기센터와 관내 민간단체가 밀접하게 협력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녹색교육 기반을 강화하고 경기센터의 2011년 중점추진 전략중 하나인 ‘Green Education’ 및 ‘SESE 나라 사업’ 추진과 연계한 교육 컨텐츠 발굴 등이 진행됐다. 양남식 에관공 경기센터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민간단체장들의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향후 ‘에너지관리공단 SESE나라 사업’과 연계한 녹색교육 활성화에 적극 반영토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