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은 학생들이 스스로 식단을 선택하고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맞춤형교육급식’ 정책 실시로 자율과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2015년 도교육청 교육전문직으로 발령받은 이의옥 장학사는 8년째 맞춤형교육급식 정책을 맡아 추진하고 있다. 그런 그는 맞춤형교육급식이 학생의 건강…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광휘고등학교는 ‘AI활용 디지털 기반 교육급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건강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지난해 광휘고에 도입된 AI활용 디지털 기반 교육급식은 학생들의 식습관을 분석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영양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된다. 학생들은 급식시간마다 식사 전 음식을 받…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영성중학교는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함께 참여하는 교육급식을 운영하고 있다. ‘학교 급식’이라고 하면 사람들 대부분은 선택권이 없는 한 가지 메뉴의 급식을 떠올린다. 반면 영성중은 메뉴의 5개 품목 중 1개를 두 가지 맛을 준비해놓는 ‘부분 선택식 메뉴’를 실시하고 있다…
하남시 덕풍동에 위치한 나룰초등학교는 학생들에게 특색 있는 급식을 제공하고자 ‘마을단위 맞춤형교육급식’ 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2018년부터 시작된 마을단위 맞춤형교육급식 공동체는 나룰초와 신장고등학교, 덕풍중학교 등이 참여하고 있다. 공동체 소속 학교들은 학생들의 입맛에 맞는 급식을…
부천상동중학교(상동중)은 학생들이 언제든지 예술 공연과 작품을 접할 수 있는 예술공감터 ‘버스킹 거리 2021호(2021호)’를 운영하고 있다. 2021호 운영 전 상동중 학생들은 공연이나 작품 전시 등 교내 활동을 할 마땅한 공간이 없어 복도, 학생자치회실, 강당, 농구장 등에서 실시했었다. 이처럼 학생들…
이천효양고등학교에는 학생들의 평범한 일상에 예술의 가치를 더하는 전시공간 ‘브룸예술공감터’가 있다. 효양고는 학생들 모두에게 교과 수업만 따라가는 학교생활을 벗어나 예술을 향유하는 능력을 길러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취지로 조성된 브룸예술공감터는 효양고 구성원이면 누구나 자신의 내면…
파주한빛중학교(한빛중)는 학생들이 문화 예술의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예술성이 자라나는 전시 공간인 예술공감터 ‘예빛터’와 ‘예감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9월 한빛중은 학생들의 예술적 심미안을 키워주고자 활용성이 떨어지던 유휴 공간인 학교 3층과 4층의 중앙 복도를 갤러리처럼 재단장해…
여주 송촌초등학교에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어울리며 예술 활동으로 소통하는 예술공감터 ‘마야우 예술실’ 공연장이 있다. 송촌초의 전교생은 51명으로 한 학년당 학생이 10명 안팎이다. 학생 수가 많은 편이 아니어서 동급생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송촌초는 전교생들이…
성남중학교(교장 송희숙)에는 공연, 전시, 휴게가 모두 가능한 특별한 공간이 있다. 이곳은 학생들의 학교 생활을 다채롭게 만들어준다. 바로 성남중 예술공감터 ‘예술 모꼬지터’이다. 모꼬지는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을 뜻한다. 성남중 학생자치회는 학생들이 예술을 보…
파주적암초등학교에는 학생들이 직접 꾸민 전교생들의 예술 작품을 자랑하는 예술공감터 ‘창의서랍’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적암초의 전교생은 30명으로 비교적 그 수가 적어 다른 학교처럼 같은 반의 학생들과 교류하며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다. 창의서랍은 전교생에게 직접 제작한 작품으로 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