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수요 증가와 산란계 공급 부족 현상 심화로 재상승한 계란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외국산 수입 카드를 다시 꺼내들었지만, 일각에선 가격 안정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계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지난 3월 중순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10일 7천901원까지 상승했다.
한 달 전 가격 7천479원보다 400원 이상 뛰었고, 1년 전 가격인 5천249원보다는 2천600원 이상 급등했다.
특히 서울·수도권 지역의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최근 30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이 1만원을 넘는 경우가 속출하면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한창 확산하던 지난 1~2월과 비슷한 현상마저 빚고 있다.
계란값이 다시 치솟은 것은 AI로 전체 산란계의 36%가량이 살처분된데다 산란계와 종계 주 수입국이던 미국과 스페인에서도 AI가 발생하면서 공급에 큰 차질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AI가 발생한 미국 대신 덴마크와 태국 등지로부터 계란수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음달 초까지 위생절차를 조기에 완료하고, 해상운송비 50% 지원, 병아리 수입 지원 기간 연장(4월→5월), 계란가공품 할당관세 적용기간 연장(6월→12월)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외국산 계란 수입이 계란 수급 불안 해소와 가격 안정에 얼마나 큰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수입절차와 선박 운송 등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다 수입란이 가격이나 품질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오히려 정부의 외국산 계란 수입 추진 발표가 일부 생산농가나 중간 유통상들의 매점매석을 억제시켜 가격 이상 급등 현상을 방지하는 심리적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올 초 미국산 계란 수입 사례를 봐도 실질적인 공급물량 증가 효과가 있다기보다는 매점매석 등을 억제시키는 심리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며 “수급불안 해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