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으로 10채 넘게 주택을 소유한 집 부자가 3만7천487명에 달해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이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공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 세부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주능로 주택 11채 이상 소유자는 3만7천487명으로 전년보다 2.1%(756명) 증가했다. 11채 이상 집 부자 숫자는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로 기록됐다.
주택 11채 이상 소유자는 2012~2014년 2만명대에 불과했다. 2015년 3만6천205명으로 증가한 뒤 2016년 3만7천193명까지 늘었다. 그러다가 2017년 3만6천731명으로 밀렸지만,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해 역대 최대 기록을 세우게 됐다.
주택을 51채 이상 소유자는 1천882명으로 줄면서 감소세를 이어갔다. 2015년 2천907명에 달하기도 했지만,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주택을 6~10채 가진 이들은 4만9천819명으로 작년보다 2.1%(1천45명)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주택 소유자는 1천401만명으로 전년보다 2.5% 늘어났다.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219만2천명년으로 전년보다 3.4% 늘었다.
집 부자 추세는 주택매매가격과 정부의 임대주택 등록 정책 등에 영향을 받는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상위 10%의 주택자산가액이 평균 9억7천700만원으로 전년보다 약 1억원 상승했다. 상위 10%의 주택자산가액 평균은 하위 10%의 주택자산가액 평균의 38배에 달한다. 전년의 35배보다 격차가 확대됐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까지의 수치로 올해들어 다주택자들은 다소 줄었을 수 있다. 수익을 실현하기 위해 일부 물량을 정리했을 수도 있고, 올해부터 임대소득 전면 과세 등을 앞두고 임대사업자로 등록했을 수 있어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까지 등록한 임대사업자는 40만7천명으로 2016년 말 19만9천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정부가 강력한 대책을 통해 다주택자를 압박하고 있다. ‘9·13 대책’에서 올해부터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와 대출 혜택을 축소했다.
또한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통해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를 선언했다.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높이면서 보유세율도 강화돼 다주택자의 세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