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24일 중앙윤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최근 연이은 실언으로 도마에 오른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의 징계에 무게가 쏠리며 김기현 체제의 지지율 반등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두 위원들에 대해 징계 필요성에는 공감을 이루면서도 ‘국민이 납득할만한’ 징계 수위를 두고는 경고부터 자격 정지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기된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주혜 의원이 윤리위 부위원장으로 임명됐으며, 이외에 7명의 비공개 위원이 선임됐다.
국민의힘은 앞서 임명된 황정근 윤리위 위원장과 전 부위원장을 제외한 인사에 대해선 객관성과 중립성을 이유로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
현재 황 위원장이 코로나19에 감염된 데 따라 윤리위는 이르면 오는 주말부터 늦어도 다음 주 초쯤 본격적으로 회의를 열고 활동에 나설 전망이다.
김기현 체제의 첫 윤리위에서 김재원 최고위원과 태영호 최고위원이 징계 논의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달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와 함께한 자리에서 ‘5·18 정신 헌법 수록 반대’ 발언을 뱉은 데 이어 ‘전 목사가 우파를 천하통일’, ‘4·3 추념식은 격 낮은 기념일’ 등의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후 김 최고위원은 지난 4일 셀프 한 달 자숙에 들어간 상태다.
태 최고위원은 제주 4·3에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하며 ‘김구는 김일성에 이용 당했다’, ‘Junk(쓰레기) Money(돈) Sex(성) 민주당. 역시 JMS 민주당’ 등의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지도부의 잇따른 실언으로 지지율이 고전 중인 상황에서 ‘돈 봉투’ 사건으로 타격을 입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의 반사이익조차 얻지 못하고 있어 이번 윤리위의 결정이 더욱 주목된다.
신율 정치평론가는 경기신문과의 통화에서 “(앞으로) 국민의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윤리위가 핵심적인 역할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 평론가는 “민주당 지지율 하락세에 (국민의힘이) 반사이익을 못 받고 있는데, 이는 국민이 보기에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윤리위가 어떻게 하냐에 따라 (민주당과의) 차별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창룡 정치학박사는 두 최고위원의 징계 논의와 관련해 “실언에 대해선 반드시 필요하다”며 “징계를 계기로 본인들(두 최고위원)이 당 혁신을 위해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경기신문과의 통화에서 징계 수준에 대해 “상임 고문을 하던 홍준표 대구 시장도 (발언 등) 여러 이유로 해임시켰는데, 1개월 정직이라던지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이뤄져야 하지 않겠나”라고 내다봤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경고 수준보다는 조금 더 확실한 징계가 필요하지 않겠냐”며 “탈당이나 제명까지는 아니더라도 최고위원 자격을 정지시키거나 하는 확실한 (윤리위) 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