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경기기후위성 1호 발사하는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원식별·배출량추정, 홍수, 산불 모니터링 등 활용가치 커

  • 등록 2025.10.13 06:00:00
  • 13면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해 8월 14일 기자간담회에서 임기 후반기 중점과제 중 하나로 ‘경기기후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발표했다. 기후위성은 도시의 기후변화 영향 모니터링과 온실가스 배출량 실측을 위해 고해상도 영상과 수치 정보 등을 제공하는 초소형 인공위성이다.

 

경기기후위성 발사가 성공하면 지방정부 주도 국내 최초 기후 대응 위성이 된다. 이 위성에는 광학위성 1기, 온실가스 관측위성 2기가 탑재 된다. 경기기후위성이 궤도에 오르면 온실가스(메탄) 배출원과 배출량 식별이 가능하며 홍수, 산불, 산사태 등 기후재난 피해 상황도 알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토지이용 현황도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김 지사의 발표 후 이 계획은 발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같은 해 10월 추진 기본계획이 수립됐으며, 올해 2~3월엔 위성 개발·운용 기관을 공모해 선정했다. 7월엔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 개발도 끝났다. 9월 탑재체 항공시험도 마쳤다. 구체적인 발사 일정은 최종 조율 중인데 다음달(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할 예정이다. 1호기는 지구 저궤도를 3년간 운행하면서 도 관련 기후·환경 데이터를 수집해 보내준다. 1호기를 포함, 앞으로 총 3기가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될 예정이라고 한다.

 

도의 기대는 크다. 고도화된 기후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후위성이 보내주는 데이터로 도내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을 정밀 감시할 수 있다. 도내 산업단지 등의 메탄 탈루·누출지점 관측 및 발생량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중소기업 등의 탄소 배출량 실측 및 저감방안 마련에도 기여하게 된다. 농업·축산업 분야 기후변화 영향 관측 및 온실가스 배출 모니터링 뿐 아니라 재난·재해 모니터링을 통한 대응도 가능하다.

 

도는 이를 통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탄소규제 강화에 대응하면서 도내 중소기업 등의 탄소 배출량 실측 및 저감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도 있다”고 밝힌다. 도와 시·군의 과학적 기후정책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를 민간과 공유함으로써 도내 기후테크 분야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산업육성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국제 기후정책 및 산업 교류 증진, 국가 우주산업 정책 협업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도는 경기기후위성에 대한 도민 관심을 높이기 위해 위성체 내부에 도민 이름을 새기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벤트에 참여한 도민 중 420명을 추첨해 이름을 위성체 내부에 각인했다.

 

경기도의회도 기후위성 개발과 활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백현종 의원(국민의힘·구리1)이 전국 지방정부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 기후위성 개발 및 활용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고, 9월 10일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이 조례안을 원안 의결해 본회의로 넘겼다. 그리고 같은 달 19일 열린 도의회 제386회 임시회에서 조례안이 통과됨으로써 기후위성 개발과 활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 사업은 순항하게 됐다.

 

백의원은 “기후위성은 앞으로 10년, 20년 후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라며 “중앙정부에서 위성 발사·운용은 큰 틀에서만 할 수 있고, 지역적으로는 활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도의 기후위성 사업은 가치가 있다”고 조례 발의 취지를 밝힌 바 있다. 그는 “과거 인공지능(AI)이 이렇게 발전할지 누가 알았는가. 이와 마찬가지로 위성 사업도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 경기신문 8월21일자 인터넷판 ‘경기도의회, 김동연 지사 역점사업 기후위성 지원사격’) 백의원은 “차기 집행부에서 도지사가 바뀌더라도 계속해 사업이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번 조례를 발의한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옳은 생각이다. 백의원의 말처럼 이 조례는 경기도가 과학 행정을 구현하고 탄소중립 정책을 선도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