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 최호섭 운영위원장이 인구 7만 명을 돌파한 공도읍을 대상으로 ‘대읍체계’ 전환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했다.
최 위원장은 최근 발표한 입장을 통해 “공도는 이미 안성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사실상의 신도시임에도, 행정조직과 권한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라며 현 체계로는 행정 공백과 주민 불편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읍체계 전환 핵심 과제로 ▲읍장 직급 4급(서기관) 격상 ▲2개 과 체계 도입과 인력 증원 ▲여권·산단·환경·도로 등 일부 시청 업무의 공도 이관을 제시하며 “이제 공도 행정은 읍 차원에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충북 청주시 오창읍 사례를 언급하며, “오창읍은 공도와 비슷한 시기에 인구 7만 명을 넘기고 대읍으로 전환해 주민 만족도가 크게 높아졌다. 공도도 행정체계만 정비하면 경기 남부 거점도시로 도약할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안성시 집행부의 소극적 태도를 비판하며 “재정 페널티를 이유로 결정을 미루는 사이, 실제 불편은 공도 시민들이 감당하고 있다. 기준인건비 문제는 이미 의회가 중앙정부와 경기도에 개선을 건의했으므로, 이제는 시장과 집행부가 결단할 차례”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어 “공도 대읍체계 전환은 공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안성시 전체 발전과 직결된다”며 서부권 출장소 설치, 광역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관리 전문화, 교육·복지 인프라 확대 등 안성 전역의 균형발전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공도 7만 시대에는 행정도 7만 시대가 되어야 한다. 행정체계가 늦게 따라오면 불편과 비용은 언제나 시민 몫”이라며 “운영위원장으로서 입법·감사·예산 심사 과정에서 최선을 다해 ‘행정이 가장 편한 도시 공도’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