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싱 사브르 베테랑 하한솔(성남시청)이 세계 최강들을 연달아 꺾으며 2024/25 부다페스트 남자 사브르 월드컵 개인전 동메달을 차지했다. 29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 BOK 스포츠홀에서 열린 대회에서 하한솔은 예선 뿔 라운드에서 6전 전승을 기록한 뒤 본선에서도 거침없는 질주를 이어갔다. 16강에서 세계랭킹 3위 페르자니 파레스(튀니지)를 15-12로 제압한 그는, 8강에서는 세계 7위 루카 쿠라톨리(이탈리아)마저 15-14로 물리쳤다. 하지만 4강에서 만난 세계 2위 세바스티앵 파트리스(프랑스)에게 막판 역전을 허용하며 13-15로 아쉽게 패해 결승 진출은 무산됐다. 지난 2023년 같은 대회 8강에서 탈락했던 그는 이번 대회에서 한 단계 도약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세계랭킹 1위 오상욱(대전광역시청)은 산드로 바자제(조지아)에게 아쉽게 12-15로 패하며 8강에서 대회를 마무리했으며, 30일 열린 사브르 단체전에는 하한솔과 도경동(대구광역시청), 박상원, 임재윤(이상 대전광역시청)이 출전해 최종 5위에 올랐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청소년 국가대표 배정훈(수원유스)이 제43회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남녀종별볼링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세 개를 목에 걸었다. 배정훈은 25일부터 31일까지 용인 엑스핀볼링라운지에서 열린 대회 남자 18세 이하부서 개인전과 개인종합, 마스터즈 1위를 차지하며 3관왕에 올랐다. 배정훈은 개인전서 6게임 합계 1574점(평균 262.3점)을 획득하며 김윤수(남양주 퇴계원고·1562점),와 최서진(성남 분당고·1545점)을 꺾고 패권을 안았다. 이후 개인전과 2·3·5인조전 개인 합산 기록으로 순위를 가리는 개인종합서 합계 5736점(평균 239.0점)을 기록한 배정훈은 김현수(인천 연수고·5494점), 김성혁(광주체고·5467점)을 가볍게 따돌리고 두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배정훈은 개인종합 상위 10명이 경쟁을 펼치는 마스터즈서 합계 2296점(평균 229.6점)으로 백승균(분당고·2282점)과 김윤수(2280점)를 각각 14핀, 16핀 차로 따돌리고 정상을 차지해 3관왕이 됐다. 이밖에 여자 18세 이하부에서는 심예린(양주 백석고)이 3관왕에 올랐다. 심예린은 빅볼동탄에서 벌어진 여자 18세 이하부 개인전서 6게임 합계 1453점(평균 242.2점)으로 1위에
최경민(GEF승마단·성남 서현중)이 2025 춘계 전국승마대회서 금메달 두 개를 목에 걸었다. 최경민은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 동안 전북 장수승마장에서 열린 대회 중고등부 마장마술 B클래스에서 '글래버'에 기승해 63.145%를 기록하며 박서영(수원 수성고부설방송통신고·61.210%)과 김성현(GEF승마단·60.726%)을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이후 최경민은 단독 출전한 마장마술 A클래스에서 '글래버'를 타고 62.778%로 금메달을 획득해 2관왕이 됐다. 또 대학부 마장마술 A클래스에서는 김태건(GEF승마단·경희대)이 '산드로'에 기승해 63.384%를 기록, 김주희(한국체대·63.030%)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학부 마장마술 C클래스서는 조민규(GEF승마단·용인대)가 '모인모인'에 기승해 63.328%로 같은 학교 이서연(58.500%)과 윤은수(신경주대·58.276%)를 가볍게 제치고 우승을 맛봤다. 중등부 마장마술 C클래스에서는 최준우(GEF승마단·페이스튼국제학교)가 '크리엔자'를 타고 59.897%를 기록하며 양승우(천안 불무중·59.897%)를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고, 중고등부 마장마술 S-1클래스에서는 박지환(수성고부설방송통신고)이…
‘탁구 천재’ 오준성(수원 수성고 방송통신고)이 월드테이블테니스(WTT) 스타 컨텐더 첸나이 2025 남자단식에서 생애 첫 WTT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오준성은 30일(한국시간) 인도 첸나이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티보 포르레(프랑스)를 4-3(9-11, 11-7, 11-3, 9-11, 6-11, 11-4, 11-7)으로 꺾었다. 오준성은 8강에서 토미슬라브 푸카르(크로아티아)를 3-1로 제압했고, 준결승에서는 플라비엔 코통(프라승)을 3-0으로 완파하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 오준성은 장신 포르레의 백핸드에 고전하며 티보 포르레에게 1, 4, 5세트를 내줬다. 그러나 빠르게 상대 구질에 적응한 오준성은 2, 3세트를 연이어 따내며 흐름을 가져왔다. 6세트부터는 특유의 안정적인 수비와 예리한 역공으로 상대 실책을 유도했고, 7세트에서는 초반부터 점수 차를 벌리며 완전히 주도권을 쥐었다. 풀게임 접전 끝에 역전 드라마를 완성한 오준성은 극적인 승리로 자신의 첫 WTT 시리즈 우승을 자축했다. 이번 우승으로 오준성은 WTT 시리즈 단식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정상에 올랐고, 세계랭킹 포인트 600점과 상금 1만 달러를 획득했다. 오준성은 첸나이 우승을 발판 삼아
프로야구 SSG 랜더스가 한유섬의 결승 홈런포를 앞세워 연패를 끊어냈다. SSG는 30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2025 신한 쏠뱅크 KBO리그 키움 히어로즈와 방문 경기서 8-2로 이겼다. 이로써 2연패를 청산한 SSG는 5승 3패를 거두며 삼성 라이온즈와 함께 공동 2위에 자리했다. 이날 SSG 선발 문승원은 5⅓이닝 3피안타 3볼넷 4탈삼진 1실점으로 시즌 첫 승을 따냈다. 7회까지 2-1로 앞선 SSG는 8회 대거 6점을 뽑아내며 승기를 잡았다. SSG는 8회초 공격 최지훈의 중전 안타와 정준재의 희생 번트, 상대 투수 이강준의 송구 실책, 에레디아의 몸에 맞는 볼로 모든 베이스를 채웠고, 한유섬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을 획득했다. 계속되는 공격에서 SSG는 박성한이 밀어내기 볼넷, 최상민이 밀어내기 몸에 맞는 공, 오태곤이 밀어내기 볼넷을 연달아 골라내며 4연속 밀어내기 득점 진기록을 썼다. 이후 박지환의 희생플라이와 최지훈의 적시타로 2점을 얻은 SSG는 8-1로 승기를 굳혔다. SSG는 서진용을 마운드에 올린 8회말 1점을 내줬으나 이후 실점하지 않고 승리를 챙겼다. 한편 KT 위즈는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 방문 경기서 연
프로배구 남자부 인천 대한항공이 8시즌 연속 챔피언결정전 진출에 성공했다. 대한항공은 30일 의정부 경민대체육관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플레이오프(PO·3전 2선승제) 3차전 의정부 KB손해보험과 방문 경기서 세트 점수 3-0(25-20 25-20 28-26)으로 이겼다. 정규리그를 3위로 마친 대한항공은 2위 KB손보에게 PO 1차전을 내줬으나 2·3차전을 따내면서 PO 전적 2승 1패로 챔프전에 올랐다. 올 시즌까지 20번 열린 PO서 1차전을 내주고 챔프전 진출권을 따낸 것은 이번 시즌 대한항공이 역대 3번째다. 대한항공은 2017~2018시즌 PO에서 삼성화재에 1차전을 내주고 2·3차전에서 승리해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고, 7시즌 만에 'PO 역스윕'에 성공했다. 이날 대한항공 외국인 공격수 카일 러셀(등록명 러셀)은 양 팀 통틀어 가장 많은 22점을 올리며 팀 승리에 앞장섰고, 토종 주포 정지석(10점), 미들 블로커 김민재(11점)도 두 자릿수 득점으로 활약했다. KB손보는 나경복(16점)과 아시아 쿼터 모하메드 야쿱(등록명 야쿱·13점)이 분전했으나 정규리그 득점 1위 안드레스 비예나(등록명 비예나)는 대한항공의 집중 견제를 뚫지
프로농구 수원 KT와 안양 정관장이 각각 4연승, 6연승을 이어가며 정규리그 막판 중대한 승부처에 선다. KT는 30일 안양 정관장 아레나에서 열리는 2024~202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정관장과 맞붙는다. KT는 29일 원주 DB를 꺾고 31승 19패를 기록, 창원 LG와 공동 2위에 올랐다. 그러나 하루 뒤 LG가 다시 승리를 챙기며 반게임 차로 앞서 나갔다. KT가 다시 2위를 되찾기 위해서는 정관장과의 경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최근 KT는 공수 양면에서 확실한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 외국인 선수 1명 체제에서도 조직력을 기반으로 안정된 전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허훈과 해먼즈가 공격의 중심을 맡고 있다. 해먼즈는 득점과 리바운드를 꾸준히 책임지며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고, 허훈은 경기 운영과 클러치 상황에서 해결사로 나서며 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두 선수의 시너지가 최근 4연승을 이끈 원동력이다. KT의 수비 라인도 탄탄하다. 문성곤은 외국인 선수와의 매치업에도 밀리지 않는 강한 압박 수비를 보여주며, 문정현은 리바운드와 허슬 플레이로 팀 밸런스를 잡아주고 있다. 주전과 비주전 구분 없이 고른 전력 분포가 KT의 연승 흐름을 이끌고
임시은(경기체중), 김아성(수원북중), 진서율(수원 세류초), 김하명(수원 영화초)이 2025년 경기도교육감기 체조대회 겸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경기도 기계 체조 대표 선발전에서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임시은은 30일 수원북중 꿈의 둥지 체육관에서 열린 여자중등부 개인종합에서 도마 11.200점, 이단평행봉 7.250점, 평균대 10.333점, 마루운동 9.700점으로 총점 38.483점을 받아 최소은(수원북중·33.733점), 김도영(경기체중·30.483점)을 가볍게 따돌리며 우승했다. 또 남중부에서는 김아성이 마루운동 11.400점, 안마 7.400점, 링 10.500점, 도마 10.767점, 평행봉 10.567점, 철봉 10.000점으로 총점 60.634점을 기록, 최시호(59.867점), 이재원(47.567점·이상 경기체중)을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 이밖에 여초부에서는 진서율이 도마 11.200점, 이단평행봉 9.100점, 평균대 9.450점, 마루운동 9.500점으로 합계 39.250점으로 윤예린(수원 영화초·38.933점), 김하린(용인 신갈초·37.217점)을 누르고 1위에 올랐다. 남초부에서는 김하명이 마루운동 11.333점, 안마 10.
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첫 승 도전이 또 물거품이 됐다. 수원FC는 30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6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제주SK FC에 0-1로 패했다. 이로써 수원FC는 개막 이후 6경기 연속 무승(3무 3패)을 기록, 리그 최하위(12위)에 머물렀다. 수원FC는 4-2-3-1 포메이션으로 나섰다. 지동원이 최전방에 섰고, 2선에는 안데르손, 루안, 박용희가 배치됐다. 중원은 이재원과 권도영이 책임졌으며, 수비는 서재민, 이지솔, 최규백, 이용이 구축했다. 골문은 안준수가 지켰다. 수원FC는 전반 초반부터 소유권 경쟁을 벌이며 경기를 풀어갔지만, 공격 작업은 매끄럽지 못했다. 흐름을 잡지 못한 수원FC는 전반 21분, 오른쪽 측면에서 제주 김륜성이 올린 크로스를 김준하가 머리로 마무리하며 선제골을 내줬다. 만회골이 절실한 수원FC는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슈팅을 시도했으나 이렇다 할 결정적 장면은 만들지 못하며 1-0으로 전반을 마무리했다. 후반 들어 수원FC는 공세를 강화했다. 루안과 안데르손이 연이어 날카로운 슈팅을 날렸고, 오프키르까지 투입해 공격에 힘을 실었지만, 제주의 골문을 열지 못했다. 결국 수원FC는 득점 없이
하남 남한중·고가 2025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중고등선수권대회서 나란히 준우승했다. 남한중은 지난 28일 경남 고성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남자중등부 결승에서 인천 효성중에게 16-24로 패했다. 2019년 이후 6년 만에 결승에 올라 우승에 도전했던 남한중는 아쉽게 준우승에 만족했다. 남한중은 전반 중반 5-7로 뒤진 상황에서 효성중에게 연달아 8점을 내주면서 5-15로 전반을 마쳤다. 후반전에 돌입한 남한중은 고성민과 박유찬을 앞세워 반격에 나섰으나 격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패했다. 이밖에 남한고는 경북 선산고와 남고부 결승에서 21-34로 무릎을 꿇어 2위에 입상했다. 3년 만에 협회장배 우승을 노린 남한고는 전반 초반 상대에게 고전하면서 1-8로 끌려갔다. 이후 이진하가 분전했으나 전반을 6-14로 마쳤다. 남한고는 후반 7-15에서 연거푸 4점을 헌납하며 추격 동력을 잃었고, 이후 승부를 뒤집는데 실패하며 21-34로 졌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