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가정 밖 청소년이 위기에 봉착하지 않고 자립할 수 있도록 쉼터와 자립지원관 등 주거를 비롯해 취업·학업에 대한 지원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청소년쉼터와 청소년자립지원관은 가족 간 갈등이나 가족 해체 등으로 가정을 이탈한 가정 밖 청소년이 보호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청소년쉼터는 집처럼 거주하며 학업 또는 취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곳으로 도내 32개 쉼터에 260여 명의 청소년이 머물고 있다.
청소년자립지원관은 독립생활 중인 가정 밖 청소년에게 월세, 취업, 건강, 심리상담 등을 지원해 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3개 청소년자립지원관에는 쉼터에서 퇴소한 90여 명 청소년의 자립기반 확립을 위해 주거와 생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쉼터에서 일정기간 이상 거주한 청소년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주택토지공사(GH)를 통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다. 도에서는 현재 39명의 청소년이 거주하고 있다.
도는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지 못한 청소년도 안정적인 주거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월세, 이사비 등을 지원한다.
도는 타 시도와 차별화해 쉼터 1개소 당 1500만 원, 자립지원관 2개소에 각 5800만 원을 편성해 학업, 심리·상담, 주거, 취업 등 일상생활에 부족함이 없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도는 취업을 위한 교육비, 교재비 등을 지원하고 장기교육 참여 시 긴급생계비를 지급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기업과 협력해 인턴십프로그램을 운영, 청소년에게 직장생활을 경험하고 정규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KT와 연계해 KT그룹 3개 자회사에 7명의 청소년이 취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지난해부터 ‘자립두배통장’ 사업을 추진해 자립생활에 중요한 목돈 마련과 경제적 여건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자립두배통장은 최대 6년 동안 월 20만 원 이내에서 본인 저축액의 2배를 추가로 적립해 창업, 전세자금, 결혼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2000여만 원의 목돈 마련을 돕는다.
현재 130여 명의 청소년이 자립두배통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 추가로 참여 청소년을 모집할 예정이다.
김향숙 평생교육국장은 “가정 밖 청소년들을 단순한 가출이라 치부해 가정으로 복귀하기만을 기다리는 것은 어찌 보면 방임에 가깝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정에서 부모의 지원을 받는 것이 최선이지만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은 국가와 지자체가 부모의 마음으로 사회에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가정 내 갈등으로 가정 복귀가 어려운 청소년은 ‘자립해냄’ 앱을 통해 청소년쉼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자립 관련 종합적인 안내는 경기남부청소년자립지원관, 경기북부청소년자립지원관으로 연락하면 된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