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아주대, 美 뉴욕주립대에 연구센터 설립…글로벌 공동연구 박차

폐플라스틱 활용 지속가능 화학공정 개발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협력 강화 힘쓸 것"

 

아주대학교가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 거점을 미국 뉴욕주에 마련한다.

 

30일 아주대는 아주대 G-램프 사업단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환경과학 및 임학대학과의 국제협력을 위해 '아주대-SUNY ESF 지속가능 물질 및 에너지 연구센터' 개소식을 미국 현지에서 열고 본격적인 공동연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센터 설치는 아주대 G-램프 사업 중점테마연구소인 차세대에너지과학연구소(소장 박지용 물리학과 교수)의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전략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아주대와 뉴욕주립대는 지난해 8월 연구 및 학술교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뉴욕주립대 내 차세대에너지과학연구소의 해외 분소 설립으로 두 기관의 공동연구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양 기관은 신설 센터를 거점으로 대학원생·박사후연구원·교원 등의 연구 인력 교류를 강화하고, 폐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 기술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지속 가능한 화학 공정 개발을 위한 긴밀한 국제 공동연구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험 설계 및 데이터 분석 등 첨단 연구 분야에서도 협력 체계를 갖춘다. 

 

두 기관은 ▲실험 프로토콜 및 연구 장비 공동 개발 ▲대학원 연구 프로젝트 공동 지도 ▲학술 논문 공동 발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안병민 아주대 G-램프 사업단장은 "이번 글로벌 협력 연구센터 설치를 통해 국제 공동연구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고, 연구 인력의 글로벌 역량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과 협력 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학기초연구소지원사업(G-램프)은 교육부가 기초과학 분야의 혁신적 공동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2023년 램프 사업으로 시작, 2024년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포함하면서 대학기초연구소 지원사업으로 규모를 확대했다. 

 

아주대는 지난 2023년 램프 사업에 선정된 후 G-램프 사업까지 수행하게 되면서 오는 2028년까지 총 236억 원을 지원받게 됐다. 

 

아주대는 G-램프 사업의 물질·에너지과학 분야에 참여하고 있으며 차세대에너지과학연구소를 중점테마연구소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