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대학교가 경기 지역 디지털 인재 양성의 중심지로 거듭난다.
7일 경기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디지털새싹 사업'의 경기권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디지털새싹 사업은 전국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AI·SW 융합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 문제해결력, 디지털 시민역량을 기르기 위한 국가 주도의 AI 체험 교육 프로젝트이다.
이번 사업에서 경기대는 전국 최초로 ‘K-안전 콘텐츠’를 체계화한 AI 교육모델을 구축하고 AI 윤리, 사이버 보안, 미디어 리터러시, 사이버 폭력 예방 등 생활 밀착형 융합 콘텐츠를 제작해 공교육-가정-지역사회가 연계된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사업은 총 12억 규모로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운영되며 경기대는 ㈜슈퍼트랙, ㈜와이즈교육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약 5000명의 디지털 미래 인재를 교육한다. 지역 분포는 경기권 60%, 타지역 40%로 AI 교육을 전국으로 확산하는 기반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경기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시행하는 ‘SW중심대학’ 사업 수행을 통해 학교 인근의 초·중·고 대상으로 AI·SW 교육을 지속 운영하고 있어 이번 사업 선정의 주요 요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책임자인 이병대 경기대 AI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경기대는 SW중심대학 사업으로 SW안전보안 및 AI 기술 교육과 윤리를 아우르는 융합형 콘텐츠와 체계화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디지털 인재 양성과 동시에 AI 윤리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며 “전국 확산 가능한 AI 공교육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경기대는 향후 대상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K-안전보안 우수 콘텐츠 개발,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교육 확산을 주도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