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 “전력 인프라 아닌 지역 파괴… 송전선로 전면 재검토하라”

“700기 철탑? 전력 인프라 아닌 지역 파괴” 강력 성토
안성 시민 동의 없는 일방 행정 절차에 누적된 분노
SK하이닉스 전력 공급 노선도 포함… “안성은 이미 한계”

 

안성시가 또다시 신규 초고압 송전선로 설치 압박에 직면했다.

 

이미 전국에서 손꼽히는 송전탑 밀집 지역으로 꼽히는 안성시가,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을 위한 신규 노선 계획에 포함되며 시민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은 최근 산림청 산불예방상황실 항공지도를 확인한 후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모니터에는 안성 전역을 촘촘히 가로지르는 수백 개의 송전탑 아이콘이 표시돼 있었으며, 지도상 흰색 삼각형으로 표기된 송전선로는 거미줄처럼 안성의 산과 들, 마을을 에워싸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최 위원장은 “이것은 단순한 시각적 충격이 아니라 명백한 현실”이라며 “안성은 이미 전국에서 손꼽히는 송전선로 밀집 지역이 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현재 안성 전역에는 350기 이상의 송전탑이 세워져 있으며, 한국전력이 최근 밝힌 3개 신규 노선이 모두 안성을 관통할 경우, 최대 350기 이상의 송전탑이 추가로 들어설 수 있는 상황이다. 이는 곧 총 700기 이상의 철탑이 안성 땅에 박히는 결과로 이어진다.

 

최 위원장은 “이것은 전력 인프라가 아니라 명백한 지역 파괴”라고 강조하며, “환경적·사회적 수용 능력은 이미 한계를 넘었다”고 말했다. 초고압 송전선로는 전자파와 경관 훼손으로 인해 주민 불안과 건강 우려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지역개발과 부동산 가치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는 게 시민들의 주장이다.

 

가장 큰 문제는 행정 절차의 방식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송전선로 설치가 지역 주민의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관철돼 왔고, 주민들은 “왜 우리 땅만 전력통로가 되어야 하느냐”는 목소리를 반복해왔다.

 

최 위원장은 “더 이상은 안 된다. 이제는 안성시민도 보호받아야 할 피해자”라며, 지방자치의 책무는 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지키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송전선로는 ‘필요악’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돼선 안 되며, 안성시민의 희생을 전제로 한 국가 기간산업 논리는 더 이상 설득력을 가질 수 없다”고 단언했다.

 

또한 안성시의회는 향후 시민들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설 방침이며, 송전선로 재검토 촉구 및 철회 요구를 정부와 한전에 전달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