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무원들이 성희롱 발언으로 기소된 양우식(국힘·비례)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의 행정사무감사 진행에 반발, 감사 출석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도의회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김진경 도의회 의장은 도의 행정사무감사 출석 거부에 대해 즉각 유감을 표명한 것과 달리 일부 의원은 도의 결정을 옹호하는 소수의견을 내기도 했다.
김 의장은 19일 입장문을 내고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향해 “의장으로서 깊은 유감을 표하며 1420만 도민과 도의회에 대한 즉각적인 사과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사안은 단순한 이견이나 내부 갈등의 차원을 넘어 지방의회의 감사권을 정면으로 부정한 중대한 사안”이라며 “피감기관 공직자의 출석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법률과 상식이 요구하는 당연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특정 위원의 발언이나 의사진행에 이견이 있다면 의회 내부의 절차와 논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며 “피감기관이 스스로 행정사무감사 수용 여부를 판단하고 출석을 압박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한을 넘어선 정치적 행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의회는 그 어떤 이유로도 법에 따른 행정사무감사를 개인에 대한 논란과 연계해 거부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며 “감사 출석 거부는 지방의회의 기능을 훼손하는 중대한 일이며 명백한 의회 경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김 지사를 비롯한 도 집행부는 이번 행정사무감사 불참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감사에 즉시 정상 복귀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날 김 의장이 도 공무원의 행정사무감사 미출석에 대해 유감을 드러낸 데 반해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유호준(남양주6) 도의원은 도의 결정을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유 도의원은 “(행정사무감사) 파행 책임은 성희롱 가해자 양우식 위원장에게 있다”며 “그동안 양 위원장은 공무원 노조와 공직자, 이에 더해 언론을 대상으로 법적대응을 운운하는 등 2차 가해를 일삼았다”고 전했다.
아울러 “도의회 국민의힘은 ‘동성 간의 비공식적 대화’였다는 해명으로 도민을 우롱했다. 이런 상황에서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일할 수 없다는 도 공무원들의 입장을 전적으로 응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양 위원장을 비롯한 가해자들은 '의회 무시'라며 반발하지만 스스로 공직자들 뿐만 아니라 도민들의 기대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 알아야 한다”며 양 위원장을 옹호한 다른 도의원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어 유 도의원은 김 의장과 도의원들에게 “현재 계류돼 있는 양 위원장과 저를 포함한 의원들의 징계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청한다”며 “우리가 만든 규칙을 우리가 지키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집행부와 도민들에게 조례를 지켜라고 요구하겠는가”라고 성토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