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지사는 취임 후 군대 간 아들의 군대 내 폭행사건과 부인과의 이혼 등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참 가슴 아픈 일들을 겪었다. 이 와중에도 그는 자신이 선거 중에 약속한 공약을 이행하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의 공약 중 가장 많이 눈길을 끌었던 것은 야당과의 연정과 인사청문회이다. 그는 실제로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제도를 도입했으며, 4대 조례안 처리 등을 담고 있는 정책합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광역버스 증차도 노력하고 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발표한 ‘2014 매니페스토 약속대상’ 선거공약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남 지사는 앞으로도 경기연정 예산가계부나 재정전략회의 등을 통해 야당과 사전에 예산에 대해 논의하고 야당 추천 사회통합부지사에 인사권과 행정권을 배분하는 등 정책연합을 실천할 계획이다. 남 지사가 취임 100일을 맞은 지난 7일 민선 6기 경기도정의 미래 비전인 ‘넥스트(Next) 경기’에 대한 6대 분야 구상을 밝힌 데 이어, 이를 뒷받침할 ‘10대 과제’를 발표했다. 남 지사가 7월1일 취임 이후 현장에서 도민들과 직접 만나고 소통해 온 결과물이다.…
예술 관람은 일반인들에게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 우선 공연의 경우, 경제적 부담(티켓 비용)을 비롯해 시간의 할애, 정보검색을 통해 최대한 만족스러운 공연을 선택해야하는 까다로운 안목까지, 영화관을 찾아 가벼운 마음으로 시간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단한 결심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그림자 비용(shadow price)도 만만치가 않다. 예를 들어 연주회에 가려면 티켓을 사야 한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그 밖의 비용이 배로 들어간다. 여기서 가장 설명하기 쉬운 것은 공연이 열리는 연주회장까지 이동하는 데 들어가는 교통비다. 집 근처에서 연주회가 열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히 들어가는 교통비에 연주회 전후의 비싼 식사비까지 지출해야하는 경우도 왕왕 생긴다. 결국 예술을 선택하고 관람하는 ‘시간’의 할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회비용의 포기와 함께 비용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늘 비용부담이 관람 장애요인에 첫 순위로 조사되고 있다. 일반 관객들의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 “문화비 지출이 만만치 않다”라는 생각들은 바로 예술 관객개발의 큰 장애요소로 작용, 예술 기획자들의 고충으로
지난 2010년 12월에 개통한 경춘선 복선전철로 인해 수도권 동북부 지역주민들의 서울로의 이동이 일부 수월해졌으나, 당초 경춘선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임에도 현재 시·종착역을 상봉역으로 운행하고 있어 이용객 대부분이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서는 2∼3번을 환승해야 하는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대부분의 이용객인 경기 동북부 지역 주민들은 그 동안 수도권 정비 계획법, 군사시설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 등 각종 규제 법령이 중첩되어 정체는 고사하고 낙후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 균형발전 및 지방분권을 추진하면서 수도권을 더욱 규제해 수도권 동북부 지역은 수도권의 혜택 즉, 경제적 이익이 거의 없었으면서도 토착기업의 지방 이전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인해 피해만 보고 있어 정부 정책에 불만이 많은 지역이다. 거주지역 내에서의 경제활동 영위가 사실상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서울에 있는 직장을 잡거나 서울에서 장사나 사업 등 경제활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전철이용이 필수적이지만 3조원에 가까운 예산을 들여 운행하고 있는 경춘선 이용에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 또 별내지구 입주, 진건보금자
오늘 아침 출근길, 몇 차례인가 신호등을 기다리며 길거리에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표정을 유심히 살펴보았다. 대부분 활기라고는 찾아보기 어려운 무표정이거나 아니면 지칠대로 지친 무기력한 표정이 역력해 보였다. 왜 그럴까? 그 누구에게도 당신 지금 행복하세요? 사는 게 신나고, 살만하다, 꽤나 괜찮다 싶으세요? 라고 묻는다면 당연 머리를 설레설레 흔들 것만 같은 그런 표정들이었다. 신문을 열심히 뒤져봐도, TV 뉴스 레드라인을 들어봐도 신나는 기사, 감동적인 밝은 뉴스거리는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 하루가 멀다하고 대형사고가 펑펑 터지는 세상, 어이없을 정도로 답답하고 어두운 ‘블랙 뉴스’들이 넘쳐나는 그런 세상에서 ‘행복’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현실과 너무 거리가 먼 어불성설은 아닐까? ‘세계 웰빙지수’ 135개국 중 한국 75위…86% ‘고전 중·고통 받는 중’ 이라는 최근의 언론 보도를 접하면서 가히 기적을 일군 경제대국, 글로벌 디지털강국 코리아의 자부심이 여지없이 무너져 내리는 충격을 받았다. 미국 갤럽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계 135개국을 대상
인간의 이(齒)가 처음부터 오복(五福)에 든 것은 아니다. 오복이 문헌상에 처음 언급된 것은 중국고전 서경(書經) 홍범편(洪範篇)이다. 여기서는 인생(人生)의 바람직한 조건인 다섯 가지의 복을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이라 했다. 유호덕은 지금의 ‘보람있는 봉사’를, 고종명은 ‘깨끗한 죽음’을 의미한다. 또 그후 청대(靑代)에 나온 통속편(通俗編)에는 수 부 귀(貴) 강녕 자손중다(·(子孫衆多)로 약간 바뀐다. 이처럼 옛 문헌을 보더라도 치아가 좋은 것을 오복 중 하나로 언급한 것은 없다. 그러나 지금도 이를 오복으로 치는 것은 아마도 이가 좋아야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 듯하다. 그렇다면 이처럼 중요한 이를 옛 사람들은 어떻게 관리했을까. 주로 나무를 사용해 이를 닦았다. 그중 버드나무가지를 갈라 이쑤시개 형태로 가장 많이 썼다고 하는데 우리가 양치질이라 하는 것도 버드나무가지 즉 ‘양지(楊枝)’질에서 유래됐다. 지금도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3천여년경 쓰던 ‘나뭇가지 모양의 양치도구’가 종종 발견된다고 한다. 하지만 사실 인간은 치아관리에 이런 칫솔질보다 치약을 먼저 사용했다. 그 기원은 고대 이집트시대로…
공익을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여야할 공공기관이 사명감 부족으로 예산낭비가 심각하다. 예산변상과 더불어 잘못에 대한 책임을 철저하게 추궁해 가야한다. 투명하게 공공기관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때에 국민복지와 사회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 감사원 감사결과 55개 공공기관이 노사 이면합의를 통해 인건비를 방만하게 집행하고 부실한 사업검토로 낭비한 예산이 12조2천억 원에 달한다. 식품연구원을 비롯한 55개 공공기관은 노사이면합의를 통해 임금을 과다인상하거나 사업비 예산집행 잔액을 이사회승인 등 적법절차 없이 집행하고 은폐하여 320여건에 1조2천55억 원을 집행하였다. 인건비·복리후생비 부당편성 및 집행과 성과급·퇴직금·사내근로복지기금을 부당하게 편성하여 집행하고 있어 문제다. 또한 불필요한 조직운영에 따른 예산낭비와 직무관련 뇌물수수 및 공금횡령으로 예산을 엄청나게 낭비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하여 사업경제성의 검토는 필수적이지만 이마저 외면한 채 무분별한 사업추진으로 예산을 낭비하고 있어 철저한 관리감독과 책임을 추궁이 절실하다. LH를 비롯한 17개 기관은 사업경제성이 결여된 사업을 제대로 무책임하게 투자함으로 회사에 손해는 물론 1
도대체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의 무지에 따른 엽기적인 욕심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고대 전쟁 때도 아니고 문명이 발생하기 전의 원시적 환경도 아닌 21세기 IT강국 대한민국에 경악을 금치 못할 일이 벌어지고 있다. 죽은 아기를 갈아서 만든 ‘인육캡슐’이 유통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육캡슐은 사산한 태아를 말려 분말이나 알약 형태로 만든 것으로 최근 3년 동안 밀수 과정에서 적발된 것이 무려 6만정이 넘는다고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인육캡슐 밀반입 자료에 의한 것이다. 이 의원이 공개한 관세청 자료에 의하면 2011년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적발된 인육캡슐 밀반입은 모두 117건, 캡슐 양으로는 6만6천149정에 이른다고 한다. 밀반입 과정에서 적발 건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11년에 22건(1만2천524정)이었으나 2013년엔 41건(2만7천852정)으로 늘어났다. 이에 관해 이 의원은 국내 유통량은 적어도 관세청에서 적발된 규모의 두 배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심각한 것은 한 국가의 식약처에 소속된 모니터링 담당자가 중국어를 모르는 탓에 거래가 이뤄지는 사이트에 가입조차 못하고 있다는…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이 법제화 된지 10년이 지났고,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에게는 대안가정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현 사회복지 지원시스템에서는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있다. 그룹홈은 보호대상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 여건과 보호, 양육,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아동복지시설로서 2013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483개소가 있으며,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시설 종사자는 1천여명, 대상 아동은 3천여명을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그룹홈이 아동복지법상 아동복지시설에 포함되어 있지만 예산지원에서는 아동양육시설과 동일한 기준으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해 사회복지시설간의 형평성에도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종사자들에게도 상실감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현재 운영되고 있는 그룹홈은 보건복지부가 제시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을 준용하고 있지 않고, 근무경력 또한 전혀 인정받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실은 보호 아동에 대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직원 채용에도 많은 어려움이 동반되고 있는 현실이다. 사회복지시설 운영 전반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는 보건복지부
古典에 공경하지 않는 것이 없으며(毋不敬), 항상 단정하고 엄숙하게 무었을 생각하고 있는 듯하며, 말이 급박하지 않고 안정되어 있으면, 모든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오만함을 기르지 말며(敖不可長), 욕심을 좇아 나서지 말며(欲不可從), 뜻을 가득 채우려 하지 말며(志不可滿), 즐거움이 극도에 이르도록 해서는 안된다(樂不可極)라는 말이 있다. 또 현명한 자는 친절하게 대하면서도 공경하고(狎而敬之), 두려워하면서도 사랑한다(畏而愛之). 사랑하면서도 그 사랑하는 사람의 악한 측면을 알며(愛而知其惡), 미워하면서도 그 사람의 착한 측면을 안다(憎而知其善). 또 재물을 축적하면서도 유용하게 베풀 줄 알며(積而能散), 편안한 것을 편안하게 여기면서도 정도에 맞지 않을 때는 버릴 줄 안다(安安而能遷), 재물에 대해서는 구차하게 얻으려 하지 말고(臨財毋苟得), 어려움을 당해서는 구차하게 모면하려고 하지 말며(臨難毋苟免), 싸움에서 이기려 들지 말며(狼毋求勝), 물건을 나눌 때에 많이 차지하기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分毋求多). 의심나는 일에 대해서는 자신이 바로잡아 결정하지 말며(疑事毋質), 자기의 생각을 솔직하게 말할 뿐 옳다고 고집해서는 안된다(直而勿有
吉人이란 性情이 바르고 덕을 갖춘 훌륭한 인물로 복스럽고 행복하게 사는 사람을 말한다. 躁人이란 침착하지 못하고 조급하여 덕을 쌓지 못하고 떠드는 사람을 말한다. 길인은 말수가 적다. 하지만 조인은 덕을 쌓지 못해 떠들거나 불평불만을 털어 놓기 때문에 말수가 많은 법이다. 말을 많이 해서 실수하는 일은 있어도 말수가 적어 실수하는 일은 없다. 옛부터 훌륭한 사람일수록 말수가 적고 반드시 할 말만 한다고 했고, 수많은 고전들에서도 그렇게 적혀있다. 말이란 한번 입 밖을 나오면 네 마리 말이 끌어도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빠르다는 말도 있다. 그러니 한번 튀어나온 말소리는 눈사람 불어나듯 불리어져 나중에는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런 말도 있다. ‘내입을 열지 않으면 귀신도 모른다’. 그런데 입 벌어지는 것을 조심하지 못하고 ‘너만 알아라’. ‘너 혼자에게만 알려준다’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또 다른 사람에게로 퍼져가게 되어있다. 그래서 퍼져나간 말로 상상할 수 없는 난처함에 부딪칠 수가 있다. 주위에서 보면 소위 수다쟁이라는 사람을 만나면 당장은 재미있는 듯하지만 돌아서고 나면 별다른 내용도 없고 나누는 말에 깊이도 없다. 수다쟁이의 말은 그냥 수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