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말라리아 환자 증가에 따라 집중 발생 시기를 앞두고 선제 대응에 나선다.
23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말라리아 환자는 236명으로 전년 대비 34.9%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해외여행 제한, 야외활동 감소로 2020년 227명에서 2021년 175명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236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월별로는 6월 55명, 7월 41명, 8월 49명, 9월 42명 등 전체 79%(187명)가 6~9월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는 7~30일 잠복기 이후 고열, 오한, 두통, 설사, 기침, 콧물, 복통, 오심 등을 유발한다.
이에 도는 집중 발생 시기를 앞두고 오는 4월부터 10월까지 파주, 김포, 고양, 동두천, 의정부, 포천, 연천 등 7개 시·군 16개 지점에서 조사감시사업을 시행한다.
이번 조사는 주 단위로 채집장소에 모기를 유인하는 유문 등을 설치, 말라리아매개모기와 기타 모기류 등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구원 관계자는 “예방을 위해선 야간 외출을 자제하고 캠핑 등 야외활동이나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시 긴 옷 착용, 모지장 사용 등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몇 달 또는 몇 년 후 재발할 수 있어 완치 확인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