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7.5℃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8.2℃
  • 맑음대전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2.3℃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6.8℃
  • 맑음제주 12.9℃
  • 맑음강화 7.2℃
  • 맑음보은 8.3℃
  • 맑음금산 8.2℃
  • 맑음강진군 9.9℃
  • 맑음경주시 11.5℃
  • 맑음거제 11.5℃
기상청 제공

국일그래핀, ‘치매 조기진단 플랫폼’ 개발 박차

성균관대 연구진과 손잡고 치매 원인 단백질 분석 기술 고도화

 

SM그룹의 소재 계열사 국일그래핀이 치매 조기 진단을 위한 바이오 센싱 기술 개발에 나섰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수요 증가에 발맞춰 그래핀 기반 진단 플랫폼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국일그래핀은 지난 10일 경기 화성시 수원대학교 고운첨단과학기술원에서 바이오 딥테크 기업 ‘하드사이언스’와 그래핀(Graphene, 초경량∙고전도∙고강도 특성을 갖춘 차세대 복합소재) 기반의 치매 진단(센싱)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술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강태현 국일그래핀 대표이사와 허채정 하드사이언스 대표이사(성균관대학교 생명물리학과 연구교수) 등 양 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향후 연구개발(R&D) 성과와 상용화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국일그래핀은 담배 필터용 박엽지, 스테인리스 강판지 등 특수지를 생산하는 국일제지의 100% 자회사로, 그래핀 등 신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2018년 설립됐다. 현재는 그래핀을 활용한 치매 진단기술 특허를 출원하는 등 관련 소재와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타우 단백질의 섬유화(조직 등이 딱딱하게 굳는 현상) 상태를 그래핀의 전기적 변화로 분석하고 완성도를 높여 상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연구개발을 이끌 허채정 대표는 현재 성균관대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측정∙분석하는 연구로 국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뇌과학 분야 전문가다.


국일그래핀과 하드사이언스는 이미 치매 유발 단백질의 섬유화를 분석한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치매 초기진단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강태현 대표는 “우리나라가 지난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초과)에 진입하면서 치매와 함께 이를 초기에 진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관련 산업의 관점에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계약을 계기로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더 나아가 그래핀 응용 분야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일그래핀의 모회사인 국일제지가 구미 국가산업 제1단지 내 매입한 부지에 공장라인을 신축해 2027년부터를 목표로 양산품이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허채정 대표도 “지금까지의 치매 진단 기술이 혈액 속 원인 단백질의 농도 분석에 의존했고 이러한 단백질은 충분한 수면 등으로 감소해 진단 시의 몸 컨디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던 반면, 이번 기술은 산업계에서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특성을 활용해 수면 등으로 제거되지 않고 뇌 혈관을 막는 섬유화된 단백질의 상태를 측정해 진단하는 새로운 접근”이라며 “이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의료 데이터를 정밀하게 활용하면 혁신적인 진단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배너


COVER STORY